N
BDI ARCHIVE 부산연구원 아카이브

선진 안전도시 관리체계와 부산시 적용 방안 연구

저자
한세억 외
정보분류
학연연구
발행년월
2013년 11월
발행부서
연구기획실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 2. 연구의 목적 6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9 Ⅱ. 안전도시 및 안전관리체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 분석기준과 틀 1. 도시 안전관리체계의 의미와 요소 13 1) 안전 및 안전도시의 개념 : 안전가치와 패러다임 13 2) 안전도시 관리체계의 구성요소 17 2. 안전도시의 근거와 공인체계 20 1) 안전증진과 손상 20 2) 안전도시의 근거 23 3) 안전도시 공인체계와 기준, 절차 26 3.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시각 및 분석 틀(프레임) 28 1) 선행연구의 고찰 28 2) 본 연구의 시각 ; 안전도시에 대한 공공적 접근과 이해 29 3) 안전관리체계 프레임(분석기준과 요소) 35 Ⅲ. 선진 안전도시 사례분석과 시사점 1. 안전도시 구축을 위한 국내·외 동향과 노력 39 1) 국내의 안전도시 정책 및 사업동향 39 2) 국내의 안전관리체계 현황 41 3) 국제적 수준의 안전도시 구축노력 50 4) 사례선정의 배경과 이유 52 2. 해외의 안전도시 사례 53 1) 스웨덴의 Lidkoping 53 2) 노르웨이의 Harstad 57 3) 미국의 Dallas 60 4) 캐나다의 Toronto 64 5) 뉴질랜드의 Otakiri 71 3. 국내의 안전도시 사례분석 74 1) 수원시 74 2) 제주특별자치도 78 3) 송파구 83 4) 천안시 85 4. 사례분석의 시사점 89 1) 해외사례의 시사점 89 2) 국내사례의 시사점 91 3) 평가적 논의 92 Ⅳ. 선진 안전도시 관리체계의 부산시 적용방안 1. 부산시 안전도시 추진배경과 사업현황 및 특성 97 1) 안전도시 추진배경 97 2) 안전도시 추진경위와 중점사업 98 3) 부산시 안전도시 추진사업의 특성과 한계 102 2. 부산시 안전관리체계의 가치와 방향 103 1) 안전 도시의 가치와 지향 103 2) 안전도시 추진방향과 원칙 106 3. 안전도시 관리체계 구축전략 109 1) 안전도시 관리체계 전략수립 및 실천 109 2) 구성요소 간 연계 및 조화 113 3) 거버넌스 협력방식에 의한 이해관계자 파트너십 구축 114 4) ICT기반 Co-creation 활용 115 4. 지속가능한 안전도시 관리체계의 제도화방안 118 1) 안전도시의 이념과 가치체계 118 2) 지속가능한 안전도시의 부문별 정책비전과 실천과제 119 Ⅴ. 결론 129 Abstract 135 참고문헌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