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2
1) 연구범위 2
2) 연구방법 3
3) 현장조사 및 인터뷰 일정 3
제2장 부산 의류산업의 현황 및 소비트렌드 5
1. 부산 의류산업 구별 현황 5
1) 의류산업 업종별 현황 5
2) 의류제조업 현황 8
3) 의류 소비트렌드 11
2. 시사점 15
제3장 부산진시장 일원 현황 및 상권분석 17
1. 부산진시장 일원 현황 17
2. 범일 상권분석 18
1) 상권분류방식 및 상권분석 비교대상 18
2) 5개 상권의 비교 분석 21
3. 시사점 27
제4장 부산진시장 일원 봉제업체관련 실태조사 29
1. 조사 개요 29
1) 표본설계 29
2) 자료수집방법 29
2. 실태조사 결과 30
1) 봉제업체 조사 결과 30
2) 상인 조사 결과 45
3) 소비자 조사 결과 47
3. 시사점 49
제5장 봉제업체 지원정책 사례조사 51
1. 중앙정부 지원정책 51
1) 지식경제부(2010) 51
2) 산업연구원(2014) 52
2. 서울시 지원정책 52
1) 동대문권, 창신・숭인권 주요 연구 52
2) 서울연구원(2011) 53
3) 서울연구원(2012) 54
4) 서울특별시(2014) 55
5) 서울특별시 외(2015) 56
3. 부산시 지원정책 57
4. 시사점 57
제6장 부산 패션·봉제 클러스터 육성방안 59
1. 목표 및 기본방향 59
2. 5대 육성전략(5C Strategies) 60
3. 추진과제 62
1) 집적화 전략(Cluster Strategy) 62
2) 협업화 전략(Collaboration Strategy) 67
3) 창조화 전략(Creation Strategy) 75
4) 특성화 전략(Characterization Strategy) 82
5) 문화화 전략(Cultural Strategy) 88
4. 추진 로드맵 96
Abstract 97
참고문헌 99
부록 102
1. 부산 패션, 부산진시장 빅테이터 분석 결과 102
2. 부산진시장 일원 상권분석 104
3. 실태조사 대상별 조사결과 비교표 108
4. 실태조사 대상별 부산패션・봉제산업의 SWOT분석 116
5. 부산 패션・봉제산업 경쟁력에 대한 실증분석 121
<표 Ⅱ-1> 의류산업 업종별 현황 1(2013년) 6
<표 Ⅱ-2> 의류산업 업종별 현황 2(2013년) 7
<표 Ⅱ-3> 사업체수 기준의 LQ 지수, 증가율 및 의류제조업 비중 8
<표 Ⅱ-5> 종사자수 기준의 LQ 지수, 증가율 및 의류제조업 비중 9
<표 Ⅱ-5> 국내 온라인 쇼핑 시장 규모 13
<표 Ⅲ-1> 대상지 일원 시장 현황 17
<표 Ⅲ-2> 5개 상권 비교 22
<표 Ⅲ-3> 5개 상권 유동인구 비교 23
<표 Ⅲ-4> 5개 상권 평균소득 비교 24
<표 Ⅳ-1> 봉제업체의 인력현황 33
<표 Ⅳ-2> 합계 종사자 수(명) 및 직종별 평균 연령 34
<표 Ⅳ-3> 봉제업체의 장비현황 35
<표 Ⅳ-4> 기본장비 합계 보유대수(대) 및 장비별 평균 연식 35
<표 Ⅵ-1> 부산패션비즈니스센터 설립 주요 내용 63
<표 Ⅵ-2> 20대 시책 추진 로드맵 96
<그림 Ⅰ-1> 연구의 공간적 범위 2
<그림 Ⅰ-2> 빅데이터 및 공간집적도(GIS) 분석 3
<그림 Ⅱ-1> 의류산업 구별 집적현황(2013년) 8
<그림 Ⅱ-2> 사업체수 기준의 LQ 지수, 증가율 및 의류제조업 비중 9
<그림 Ⅱ-3> 종사자수 기준의 LQ 지수, 증가율 및 의류제조업 비중 10
<그림 Ⅱ-4> 의류제조업체 분포도 10
<그림 Ⅱ-5> 1인 가구 비중 11
<그림 Ⅱ-6> 1인 가구 소비 12
<그림 Ⅱ-7> 국내 온라인 쇼핑 시장 규모 및 전망 13
<그림 Ⅱ-8> 한국 패션 소비트렌드 14
<그림 Ⅲ-1> 상권 분류 방식 19
<그림 Ⅲ-2> 대한민국 100대 상권 및 5개 비교 상권 20
<그림 Ⅲ-3> 5개 상권 21
<그림 Ⅲ-4> 5개 상권의 직장인구비 22
<그림 Ⅲ-5> 대한민국 100대 상권 및 유동인구 23
<그림 Ⅲ-6> 5개 상권 평균소득 비교 24
<그림 Ⅲ-7> 5개 상권 연령별 거주인구 비교 25
<그림 Ⅲ-8> 5개 상권 연령별 직장인구 비교 26
<그림 Ⅲ-9> 5개 상권 업종별 음식업소 비교 26
<그림 Ⅲ-10> 5개 상권 평균추정소득/소득분위 27
<그림 Ⅳ-1> 자체 제품 판매장 보유 및 점포 위치, 주생산품목 30
<그림 Ⅳ-2> 봉제업체의 일반현황 31
<그림 Ⅳ-3> 봉제업체의 공장현황 32
<그림 Ⅳ-4> 봉제업체의 납품처 및 원부자재구매처 36
<그림 Ⅳ-5> 봉제업체의 애로사항 37
<그림 Ⅳ-6> 경영실적 및 향후전망 38
<그림 Ⅳ-7> 패션・봉제산업의 중요도 및 발전 가능성 39
<그림 Ⅳ-8> 부산 패션・봉제산업의 경쟁력 39
<그림 Ⅳ-9> 선진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 40
<그림 Ⅳ-10> 아파트형 봉제공장 입주의사 및 필요시설 41
<그림 Ⅳ-11> 아파트형 봉제공장에서 봉제업체들이 필요한 공동장비 41
<그림 Ⅳ-12> 아파트형 봉제공장에서 상인들이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 42
<그림 Ⅳ-13> 부산진시장 일원 패션산업 발전가능성 42
<그림 Ⅳ-14> 부산진시장 일원 패션산업 발전을 위한 육성방안(봉제업체) 43
<그림 Ⅳ-15> 부산진시장 일원 패션산업 발전을 위한 육성방안(상인) 43
<그림 Ⅳ-16> 부산진시장 일원 패션산업 발전을 위한 육성방안(소비자) 44
<그림 Ⅳ-17> 패션상인의 일반현황 45
<그림 Ⅳ-18> 상인의 판매품목 46
<그림 Ⅳ-19> 상인의 경영상 애로사항 46
<그림 Ⅳ-20> 소비자의 일반현황 47
<그림 Ⅳ-21> 소비자의 옷 구입방식 48
<그림 Ⅳ-22> 의류판매나 구입시, 중요 요인 48
<그림 Ⅴ-1> 숙련집약형 패션산업 육성방안 51
<그림 Ⅴ-2> 국내 패션의류산업의 발전비전과 정책과제 52
<그림 Ⅴ-3> 서울연구원(2011) 주요연구 53
<그림 Ⅴ-4> 서울연구원(2012) 기존계획 분석 54
<그림 Ⅴ-5> 서울연구원(2012)의 동대문권역 비전 55
<그림 Ⅴ-6> 서울특별시(2014) 주요 연구 56
<그림 Ⅴ-7> 서울특별시 외(2015) 주요 연구 내용 56
<그림 Ⅴ-8> 부산시 지원정책 57
<그림 Ⅵ-1> 목표 및 기본방향 60
<그림 Ⅵ-2> 5C 전략과 20대 추진과제 61
<그림 Ⅵ-3> 부산패션비즈센터 설립 64
<그림 Ⅵ-4> 패션봉제지원기능의 집적화 도모 65
<그림 Ⅵ-5> 패션봉제 공동작업장 네트워크 구축 67
<그림 Ⅵ-6> 디자인-봉제-유통 협력체계 구축 69
<그림 Ⅵ-7> 봉제업체 공공기관 민관협력체계 구축 70
<그림 Ⅵ-8> 토탈패션 협력시스템 구축 72
<그림 Ⅵ-9>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유통망 협력 73
<그림 Ⅵ-10> 부산-저장성 패션 협력 네트워크 구축 75
<그림 Ⅵ-11> 젊은 신진디자이너 육성 77
<그림 Ⅵ-12> 「Busan-icon」 패션이미지 창조사업 79
<그림 Ⅵ-13> 스카이파크 창조사업 80
<그림 Ⅵ-14> 부산패션 창조재생사업 장기구상 수립 82
<그림 Ⅵ-15> 철로변 섬유패션거리 사업 추진 84
<그림 Ⅵ-16> 패션-봉제특화거리 조성 86
<그림 Ⅵ-17> 요우커 패션관광 체험형 스튜디오 개소 88
<그림 Ⅵ-18> 패션 역사/문화 조형물 건축 89
<그림 Ⅵ-19> 역사/문화자원 스토리텔링 구축 91
<그림 Ⅵ-20> 시작(혼례)-마무리(장례) 브랜드 구축 92
<그림 Ⅵ-21> 부산패션문화축제 통합 추진 94
<그림 Ⅵ-22> 사랑의 키오스크 설치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