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
부산연구원 아카이브

[2017 부산학 교양 총서] 수다의 인문학

저자
경성대학교 문화발전연구소 외
정보분류
부산학연구
발행년월
2017년 12월
발행부서
부산학연구센터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프롤로그 •10 Ⅰ. 현시대 시민인문학의 등장 배경과 생활 속 시민인문학•23 1.시대와 사회를 이끌어온 대학•24 (1) 대학의 위기, 인문학의 위기 (2) 1970~80년대의 투개표 참관 캠페인과 그 현재적 함의 및 한계 2.시대와 사회에 끌려가는 대학•29 (1) 대학의 무능함(1997~현재) (2) 한국 대학에 대한 역사사회적 고찰 3.학제 인문학:관치로 학내에서 부정되는 (관)학제 인문학•34 (1) 대학 강국 5대 프로젝트(2008) (2) 프라임 사업(2015) 4.시민인문학: 관치로 학(내)외에서 보존되는 관(학)제 인문학•40 (1)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사업(2013~17) (2) <인문도시> 사업(2014~17) 5.부산의 생활 속 시민인문학을 찾아서•48 Ⅱ. 부산 시민인문학의 발생과 전개 및 현황•49 1.부산 시민인문학의 태동(개항이후~군부독재기)•50 (1) 관부연락선, 일제에 대한 한민족의 역공 (2) 전시연합대학, 부산 인문학 지킴이 (3) 밀다원, 피란예술인의 아지트 (4) 민민청, 민주주의를 향한 외침 (5) 부마항쟁, 유신에 맞섬 (6) 부산 무크지, 언론의 자유를 향해 2.동아시아 금융위기(IMF)이후 부산 시민인문학의 전개•57 (1) 양화의 인문학 (2) 관치와의 줄다리기 3.최근 부산 시민인문학의 활동 현황•63 4.덧붙이며 (1) 피란시절: 잉태기 (2) 1970년대: 시민과의 통섭 (3) 1980~90년대: 무크지에서 계간지로 (4) 2000년대: 무가지(無價紙) (5) 과거로 떠나는 인문학 여행 5. 시민인문학의 운영과 네트워킹: 부산 인문학의 선순환 •80 - 부산문화재단 독서인문학 활성화지원 사업과 지원 주체 Ⅲ. 생활 속 시민인문학의 가능성•95 1.수다의 인문학•96 2.알쓸신잡, 수다신잡•97 3.한 번쯤은 여기서•99 4.한 번쯤은 그들과•104 부산의 수다쟁이들: 사용을 넘어 생산으로 - 평등의, 무모함의, 생활 속의, 다양성과 복수성의, 해학의 인문학 (1) 차곡차곡 <디딤돌> •104 (2) 덤벙주초를 아시나요? 덤벙주초문화답사회 <덤벙학당>•108 (3) 부산을 거닐어요 <사부작 사부작>•111 (4) 우리 <그림책 먹는 엄마>•113 (5) 함께 <골목에서 책을 펼치다>•114 (6) 물고기와 사람이 사는 <백년어서원>•116 (7) 인문학의 윤리와 실천이 숨 쉬는 <내서재>•117 (8) 문화 게릴라 <안녕 광안리>•120 (9) 작게, 편하게, 재미있게 <비온후+b-clip+보따리>•122 (10) 도서관 문 좀 열어 주세요 <책보다 귀한 우리>•126 (11) 삶을 바꿔 봐요 <상생충북>•132 Ⅳ. 새로운 부산 시민인문학의 전망: 진정한 시민인문학을 향해•139 1. (대항)헤게모니, 또 대항헤게모니가 실현될 장으로서 일상생활•141 2. 현시대 시민의 6가지 특질•144 3. 현시대 새로운 부산 시민인문학의 변증법적 주체: 시민+시민사회•149 4. 진정한 시민인문학을 향하여•153 Ⅴ. 결론 및 제언•155 에필로그•158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