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2. 연구 범위 및 방법 5
3. 연구 흐름도 7
Ⅱ. 공유경제 현황 및 이론적 논의
1. 공유경제 대두 배경 11
1) 글로벌 환경 변화 11
2) 국내 환경 변화 12
2. 공유경제의 정의 14
1) 정의 14
2) 전통경제와의 비교 15
3) 기존의 렌탈 서비스와의 비교 17
3. 이론적 논의 18
1) 공유경제의 기원 18
2) 공유경제의 이론적 논의 21
4. 공유경제의 특징 및 쟁점 35
1) 규모 및 현황 35
2) 공유경제의 특징 및 유형 38
3) 최근 쟁점 43
Ⅲ. 국내외 공유경제 사례 분석
1. 공유경제의 특성에 따른 네 가지 유형 53
1) 공간 공유 54
2) 물건 공유 56
3) 지식 공유 59
4) 교통 공유 63
2. 공유경제의 다섯 가지 기능별 유형 66
1) 관광편의형 67
2) 생활문화형 71
3) 기술편의형 77
4) 지역공동체형 81
5) 신산업형 85
3. 서울시의 ‘공유도시(Sharing City) 서울’ 지원정책 90
1) 행정적 지원 90
2) 홍보 및 네트워크 지원 91
Ⅳ. 공유경제 시민, 전문가 조사
1. 공유경제 시민의식조사 97
1) 시민 설문조사 개요 97
2) 기초 빈도 분석 99
3) 교차 분석 107
4) 요약 및 결론 112
2. 전문가 심층면접조사 113
1) 조사 개요 113
2) 조사 내용 115
Ⅴ. 도시재생과 공유경제
1. 도시재생과 공유경제의 접목 125
1) 도시재생과 공유경제의 친화성 125
2) 부산지역 도시재생 거점시설의 현황 127
2. 공유경제를 활용한 도시재생 거점시설의 콘텐츠 135
1) 관광편의형 136
2) 생활문화형 137
3) 기술편의형 141
4) 지역공동체형 142
5) 신산업형 146
3. 도시재생 거점시설 활용의 과제 148
1) 플랫폼 구축 148
2) 공유경제 경험과 교육 기회 확대 150
3) 개인 간 거래에서 마을 간 거래로 (P2P에서 V2V) 152
4) 신뢰구조 만들기 154
5) 행정지원의 적절성 155
Ⅵ. 부산형 공유경제 활성화 방안
1. 공유경제의 지속적 생태계 조성 161
2. 부산형 공유경제 활성화 전략 162
1) 공유경제 생활화 164
2) 공유형 도시재생 활성화 165
3) 공유기업 육성 166
3. 부산형 공유경제 정책 과제 167
1) 공유경제 생활화 167
2) 공유형 도시재생 활성화 171
3) 공유기업 특화 육성 174
4. 기대효과와 향후 과제 179
1) 공유경제의 기대효과 179
2) 향후 과제 183
Abstract 187
참고문헌 188
부록 195
<표 Ⅱ-1> 포콜라레 활동의 주요 분야 19
<표 Ⅱ-2> 공유경제 기업의 영역에 의한 분류 20
<표 Ⅱ-3> 공유경제 거래 방식 42
<표 Ⅲ-1> 공간 공유 사례 55
<표 Ⅲ-2> 물건공유 사례 57
<표 Ⅲ-3> 지식공유 사례 60
<표 Ⅲ-4> 교통 공유 사례 63
<표 Ⅲ-5> 팹랩(Fablab)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장비 79
<표 Ⅳ-1> 시민설문조사 개요 97
<표 Ⅳ-2> 조사대상자의 연령대 및 직업 분류 98
<표 Ⅳ-3> 공유경제 인식 여부 99
<표 Ⅳ-4> 공유경제 인식 경로 99
<표 Ⅳ-5> 공유경제 직접경험 여부 100
<표 Ⅳ-6> 공유경제 경험 경로 100
<표 Ⅳ-7> 경험한 공유 분야 101
<표 Ⅳ-8> 사용하고 싶은 공유분야 101
<표 Ⅳ-9> 제공하고 싶은 공유 분야 102
<표 Ⅳ-10> 공유경제 활동 참여 의사 102
<표 Ⅳ-11> 공유경제 활동 미참여 이유 103
<표 Ⅳ-12> 부산에 필요한 공유경제 분야 103
<표 Ⅳ-13> 공유할 대상 존재 정도 104
<표 Ⅳ-14> 공유문화 정착 및 공유경제 활성화에 필요한 부분 105
<표 Ⅳ-15> 공유경제 발전 전망 빈도표 105
<표 Ⅳ-16> 공유경제 지역 발전 도움 정도 106
<표 Ⅳ-17> 공유경제 발전을 위한 부산시의 역할 107
<표 Ⅳ-18> 연령대별 공유경제 인식 107
<표 Ⅳ-19> 연령대별 사용하고 싶은 공유 분야 108
<표 Ⅳ-20> 연령대별 공유경제 활동 참여 이유 108
<표 Ⅳ-21> 연령대별 공유 대상 존재 정도 교차표 109
<표 Ⅳ-22> 직업별 사용하고 싶은 공유 분야 110
<표 Ⅳ-23> 직업별 공유경제 참여 의사 110
<표 Ⅳ-24> 직업별 공유경제 참여 이유 111
<표 Ⅳ-25> 직업별 제공 희망 분야 111
<표 Ⅳ-26> 직업별 부산에 필요한 공유 분야 112
<표 Ⅳ-27> 전문가 심층면접조사 개요 114
<표 Ⅳ-28> 전문가 심층면접조사 대상 114
<표 Ⅴ-1> 산복도로 르네상스 프로젝트 추진개요 127
<표 Ⅴ-2> 행복마을만들기 추진개요 129
<표 Ⅴ-3> 강동권 창조도시 조성 추진개요 131
<표 Ⅴ-4> 부산시 도시재생거점시설 132
<표 Ⅴ-5> 관광편의형 도시재생거점시설 136
<표 Ⅴ-6> 생활문화형 도시재생거점시설 137
<표 Ⅴ-7> 기술편의형 도시재생거점시설 141
<표 Ⅴ-8> 지역공동체형 도시재생거점시설 142
<표 Ⅴ-9> 신산업형 도시재생거점시설 146
<표 Ⅵ-1> 공유경제 생활화 관련 단계별 시책 구상 167
<표 Ⅵ-2> 공유형 도시재생 활성화 관련 단계별 시책 구상 171
<표 Ⅵ-3> 공유기업 육성 관련 단계별 시책 구상 174
<그림 Ⅰ-1> 연구 흐름도 7
<그림 Ⅱ-1> 공유경제 대두배경 11
<그림 Ⅱ-2> 공유경제 패러다임으로의 변화 15
<그림 Ⅱ-3> 공유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사례 16
<그림 Ⅱ-4> 공유경제를 설명하는 이론적 자원들 22
<그림 Ⅱ-5> 제도분석 및 발전분석틀(IAD framework) 24
<그림 Ⅱ-6> 전 세계 공유경제 현황 35
<그림 Ⅱ-7> 생활 속의 공유경제 36
<그림 Ⅱ-8> 공유경제의 필수 요소 38
<그림 Ⅱ-9> 공유경제 시스템의 세 가지 유형 39
<그림 Ⅱ-10> 마이크로 스타트업을 이끄는 3가지 축 44
<그림 Ⅲ-1> 공유 대상의 본질적 특성에 따른 분류 54
<그림 Ⅲ-2> 에어비앤비의 성장세 56
<그림 Ⅲ-3> 공유경제 사업 사례 전망 66
<그림 Ⅲ-4> 공유경제가 작동하는 기능과 역할에 따른 분류 67
<그림 Ⅲ-5> 비앤비히어로 (관광편의형 공유기업) 68
<그림 Ⅲ-6> 마이리얼트립 (관광편의형 공유기업) 69
<그림 Ⅲ-7> 위즈돔 (생활문화형 공유기업) 72
<그림 Ⅲ-8> 쏘카 운영 방식 74
<그림 Ⅲ-9> 태스크래빗 (생활문화형 공유기업) 76
<그림 Ⅲ-10> 테크숍 (신산업형 공유기업) 77
<그림 Ⅲ-11> woozoo (지역공동체형 공유기업) 82
<그림 Ⅲ-12> 서울 e품앗이센터 거래도 84
<그림 Ⅲ-13> 쿼키의 아이디어 제품화 선정 과정 86
<그림 Ⅲ-14> 공유경제 관련 행사 92
<그림 Ⅲ-15> 공유허브(Sharehub.kr) 포털 93
<그림 Ⅳ-1> 조사대상자 연령대 98
<그림 Ⅳ-2> 조사대상자의 직업 분류 98
<그림 Ⅳ-3> 공유경제 인식 여부 99
<그림 Ⅳ-4> 공유경제 인식 경로 99
<그림 Ⅳ-5> 공유경제 직접경험 여부 100
<그림 Ⅳ-6> 공유경제 경험 경로 100
<그림 Ⅳ-7> 경험한 공유 분야 101
<그림 Ⅳ-8> 사용하고 싶은 공유 분야 101
<그림 Ⅳ-9> 제공하고 싶은 공유 분야 102
<그림 Ⅳ-10> 공유경제 활동 참여 의사 102
<그림 Ⅳ-11> 공유경제 활동 미참여 이유 103
<그림 Ⅳ-12> 부산에 필요한 공유경제 분야 103
<그림 Ⅳ-13> 공유할 대상 존재 정도 104
<그림 Ⅳ-14> 공유문화 정착 및 공유경제 활성화에 필요한 부분 105
<그림 Ⅳ-15> 공유경제 발전 전망 105
<그림 Ⅳ-16> 공유경제 지역 발전 도움 정도 106
<그림 Ⅳ-17> 공유경제 발전을 위한 부산시의 역할 107
<그림 Ⅵ-1> 공유경제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조 162
<그림 Ⅵ-2> 부산형 공유경제 활성화 전략 163
<그림 Ⅵ-3> 공유경제의 기대효과 179
<그림 Ⅵ-4> 일자리 기대효과 181
<그림 Ⅵ-5> 부산형 창조경제 모델 발전 가능성 182
<그림 Ⅵ-6> 해결 과제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