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4. 연구의 흐름도 5
Ⅱ. 이론적 논의 및 동향 분석 7
1. 여가의 의의와 정책 7
1) 여가의 개념과 본질 7
2) 여가정책과 영역 11
2. 가족여가의 본질과 정책 14
1) 가족여가의 부상과 본질 14
2) 가족여가정책과 영역 18
3. 여가 관련 동향 분석 24
1) 사회 환경의 변화 24
2) 경제 환경의 변화 27
3) 정책 환경의 변화 29
4) 가족 중심 패러다임의 변화 32
Ⅲ. 국내외 사례 분석 36
1. 국외 가족여가 활성화 정책 및 사례 36
1) 미국 36
2) 영국 39
3) 독일 45
4) 일본 48
5) 국외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49
2. 국내 가족여가 활성화 정책 및 사례 52
1) 가족여가 관련 정책 현황 52
2) 가족여가정책 영역별 활성화 사례 61
Ⅳ. 부산시민 가족여가 참여 현황 분석 83
1. 부산시민 설문조사 83
1) 설문 조사 개요 83
2) 설문 조사 결과 분석 85
2. 부산시민 설문조사 결과의 시사점 110
1) 가족여가 인식과 주5일제 확대의 영향 110
2) 가족여가정책 영역별 시사점 114
Ⅴ. 부산지역 가족여가 활성화 방안 128
1. 기본 방향과 정책 기본 틀 128
1) 기본 방향 128
2) 정책 기본 틀 130
2. 가족여가 정책 영역별 방안과 기반 조성 정책 132
1) 가족여가 정책 영역별 활성화 방안 132
2) 가족여가 기반 조성 정책 138
참고문헌 160
Abstract 162
<표 Ⅱ-1> 분류 기준에 따른 여가활동 유형 10
<표 Ⅱ-2> 여가정책 영역의 분류 체계 14
<표 Ⅱ-3> 가족여가의 의의 17
<표 Ⅱ-4> 가족여가정책 영역의 분류 체계 22
<표 Ⅱ-5> 가족여가공간 유형 23
<표 Ⅱ-6> 각국의 휴일 및 휴가 일수 비교 26
<표 Ⅱ-7> 가구원수별 가구 분포 33
<표 Ⅱ-8> 가족의 형태별 분포 33
<표 Ⅲ-1> 그린 카운티 공원의 가족활동 프로그램 37
<표 Ⅲ-2> 공공도서관의 독서문화프로그램 현황 38
<표 Ⅲ-3> Every Child Matters의 구성사업 41
<표 Ⅲ-4> 지역별 청소년 문화 프로젝트 43
<표 Ⅲ-5> BAHA 가족 활동 휴일에 대한 정보 제공 44
<표 Ⅲ-6> 국외 여가정책 현황 50
<표 Ⅲ-7> 여가활동 및 여가산업 관련법 현황 55
<표 Ⅲ-8> 여가시설 및 여가공간 관련 법규 56
<표 Ⅲ-9> 정부 부처별 가족여가 관련 주요 시책 60
<표 Ⅲ-10>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의 가족여가 프로그램 61
<표 Ⅲ-11> 문화예술기관의 가족여가 프로그램 62
<표 Ⅲ-12> 국립박물관 가족여가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실적 62
<표 Ⅲ-13> 평생학습관의 가족여가 프로그램 65
<표 Ⅲ-14> 체육시설의 가족여가프로그램 66
<표 Ⅲ-15> 청소년 과외체육활동 지원사업 실적 67
<표 Ⅲ-16> 청소년 과외체육활동 지원사업 추진 실적 67
<표 Ⅲ-17> 가족 축제 현황 69
<표 Ⅲ-18> 국립공원 연도별 탐방객 수 및 탐방프로그램 실적 70
<표 Ⅲ-19> 국립공원의 생태자연관광 운영 일정 70
<표 Ⅲ-20> 지역단위 가족체육활동 사례 71
<표 Ⅲ-21> 사회복지관 가족여가 프로그램 72
<표 Ⅲ-22> 주민자치센터 가족여가 프로그램 72
<표 Ⅲ-23> 초·중·고등학교 교과과정 내 체육여가활동 73
<표 Ⅲ-24> 체육동아리 지정 연구학교 73
<표 Ⅲ-25> 문화예술분야 가족여가시설 현황 74
<표 Ⅲ-26> 영화‧ 및 드라마 촬영지 75
<표 Ⅲ-27> 전국 시‧도별 체육시설업 현황 75
<표 Ⅲ-28> 핵심 생활체육 및 스포츠체육 현황 75
<표 Ⅲ-29> 생활복지시설 현황 76
<표 Ⅲ-30> 주요 도시 공원 현황 76
<표 Ⅲ-31> 자연휴양림 운영 개소 및 이용 현황 77
<표 Ⅲ-32> 자연휴양림 체험프로그램 78
<표 Ⅲ-33> 녹색농촌체험마을 현황 78
<표 Ⅲ-34> 세계 10대 테마파크 기업 79
<표 Ⅲ-35> 세계 10대 워터파크 기업 79
<표 Ⅲ-36> 가족대상 온라인게임 대회 개최 80
<표 Ⅲ-37> 자녀의 연령에 따른 가족여가프로그램 81
<표 Ⅲ-38> 가족구성원 세대 및 특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 82
<표 Ⅲ-39> 야간개장 및 주말을 활용한 프로그램 82
<표 Ⅳ-1> 현재 및 희망 월 평균 평일과 주말 가족여가 횟수‧시간‧비용 111
<표 Ⅳ-2> 가족여가 시간 및 비용의 충분도 112
<표 Ⅳ-3> 주5일제 근무 확대 실시 및 미실시 비율 113
<표 Ⅳ-4> 현재 및 희망 가족여가활동 참여(종합) 115
<표 Ⅳ-5> 현재 및 희망 가족여가활동 참여 115
<표 Ⅳ-6> 현재 및 희망 문화예술관람활동 참여 116
<표 Ⅳ-7> 현재 및 희망 문화예술참여활동 참여 116
<표 Ⅳ-8> 현재 및 희망 스포츠관람활동 참여 117
<표 Ⅳ-9> 현재 및 희망 관광활동 참여 118
<표 Ⅳ-10> 현재 및 희망 가족여가활동 참여(유형별) 119
<표 Ⅳ-11> 현재 및 희망 가족여가공간 이용 120
<표 Ⅳ-12> 현재 및 희망 가족여가공간 이용(종합) 120
<표 Ⅳ-13> 현재 및 희망 생활권과 광역권 여가공간 이용 121
<표 Ⅳ-14> 현재 및 희망 가족여가공간 이용(유형별) 121
<표 Ⅳ-15> 현재 및 희망 가족여가활동 참여(성별) 126
<표 Ⅳ-16> 현재 및 희망 가족여가공간 이용(성별) 126
<표 Ⅳ-17> 희망 가족여가활동 참여(세대별) 127
<표 Ⅴ-1> 희망 가족여가활동 참여 및 가족여가공간 이용 유형 156
<그림 Ⅰ-1> 연구의 흐름도 6
<그림 Ⅱ-1> 여가정책의 요소와 내용 범위 13
<그림 Ⅱ-2> 가족여가정책의 방향 설정 20
<그림 Ⅱ-3> 가족여가정책 영역의 범주화 과정 21
<그림 Ⅱ-4> 우리나라 전 산업의 월평균 근로시간 추이 24
<그림 Ⅱ-5> OECD 회원국의 연간 노동시간 비교(2008년 기준) 25
<그림 Ⅱ-6> 국가별 주당 평균 여가시간 25
<그림 Ⅱ-7> 국가별 주당 평균 노동시간 25
<그림 Ⅳ-1> 삶의 만족도(평균 및 성별) 85
<그림 Ⅳ-2> 가족여가활동 목적 85
<그림 Ⅳ-3> 가족여가시간 제약요인 86
<그림 Ⅳ-4> 가족단위 여가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생각 86
<그림 Ⅳ-5> 가족여가생활 및 환경 만족도 87
<그림 Ⅳ-6> 가족여가생활 및 환경 불만족 이유 87
<그림 Ⅳ-7> 가족여가자원 정보 제공 경로 88
<그림 Ⅳ-8> 가족여가자원 이용 시 고려사항 88
<그림 Ⅳ-9> 현재 및 희망 월 평균 평일과 주말 가족여가횟수 89
<그림 Ⅳ-10> 현재 및 희망 월 평균 평일과 주말 가족여가시간 89
<그림 Ⅳ-11> 현재 및 희망 월 평균 평일과 주말 가족여가비용 90
<그림 Ⅳ-12> 가족여가시간 충분도 90
<그림 Ⅳ-13> 가족여가비용 충분도 90
<그림 Ⅳ-14> 가족여가시간 추가 시 활용 91
<그림 Ⅳ-15> 가족여가비용 추가 시 활용 91
<그림 Ⅳ-16> 현재 주된 가족여가활동 참여 유형 92
<그림 Ⅳ-17> 희망하는 가족여가활동 참여 유형 92
<그림 Ⅳ-18> 8개 가족여가활동 영역 중 현재 및 희망 활동 참여 유형 93
<그림 Ⅳ-19> 현재 및 희망 문화예술관람활동 참여 유형 94
<그림 Ⅳ-20> 현재 및 희망 문화예술참여활동 참여 유형 94
<그림 Ⅳ-21> 현재 및 희망 스포츠관람활동 참여 유형 95
<그림 Ⅳ-22> 현재 및 희망 스포츠참여활동 참여 유형 96
<그림 Ⅳ-23> 현재 및 희망 관광활동 참여 유형 96
<그림 Ⅳ-24> 현재 및 희망 취미 및 오락활동 참여 유형 97
<그림 Ⅳ-25> 현재 및 희망 휴식활동 참여 유형 97
<그림 Ⅳ-26> 현재 및 희망 사회 및 기타활동 참여 유형 98
<그림 Ⅳ-27> 1순위 가족여가활동 참여 이유 98
<그림 Ⅳ-28> 현재 가족여가공간 이용 유형 99
<그림 Ⅳ-29> 희망하는 가족여가공간 이용 유형 99
<그림 Ⅳ-30> 현재 및 희망 가족여가공간 이용 유형 100
<그림 Ⅳ-31> 현재 및 희망 생활권 여가공간 이용 유형 100
<그림 Ⅳ-32> 현재 및 희망 광역권 여가공간 이용 유형 101
<그림 Ⅳ-33> 1순위 가족여가공간 이용 이유 101
<그림 Ⅳ-34>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가족여가시간 영향 102
<그림 Ⅳ-35>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가족여가비용 영향 102
<그림 Ⅳ-36>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여가생활의 변화 103
<그림 Ⅳ-37>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가족생활의 변화 103
<그림 Ⅳ-38>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문제점 104
<그림 Ⅳ-39>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가족여가생활 만족도 104
<그림 Ⅳ-40> 주5일 근무제 확대 시행 시 평일 가족여가활동 105
<그림 Ⅳ-41> 주5일 근무제 확대 시행 시 휴가기간 가족여가활동 105
<그림 Ⅳ-42> 주5일 근무제 확대 시행 시 평일 가족여가공간 106
<그림 Ⅳ-43> 주5일 근무제 확대 시행 시 휴가기간 가족여가공간 106
<그림 Ⅳ-44> 부산지역 가족여가 활성화 환경 107
<그림 Ⅳ-45> 가족여가활동 제약 요인 107
<그림 Ⅳ-46> 부산시 가족여가정책의 수행 108
<그림 Ⅳ-47> 부산시 가족여가의 조직 108
<그림 Ⅳ-48> 가족여가의 관점 108
<그림 Ⅳ-49> 부산지역 가족여가 활성화 방안 109
<그림 Ⅳ-50> 부산지역 가족여가활동의 정책 개선 사항 109
<그림 Ⅳ-51> 삶의 만족도(성별 및 세대별) 122
<그림 Ⅳ-52> 현재 및 희망 월 평균 평일 가족여가횟수(성별 및 세대별) 123
<그림 Ⅳ-53> 현재 및 희망 월 평균 주말 가족여가횟수(성별 및 세대별) 123
<그림 Ⅳ-54> 현재 및 희망 월 평균 평일 가족여가시간(성별 및 세대별) 124
<그림 Ⅳ-55>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가족여가생활 만족도(성별 및 세대별) 125
<그림 Ⅴ-1> 부산지역 가족여가 활성화의 기본 방향 129
<그림 Ⅴ-2> 부산지역 가족여가 활성화의 비전과 정책 기본 틀 131